WSL이란?
WSL은 Windows Service for Linux의 약자로써, 별도의 가상 머신 또는 이중 부팅 없이 Windows 컴퓨터에서 Linux 환경을 실행할 수 있는 Windows의 기능입니다.
사용자는 Windows 환경에서 Linux 배포판을 선택하여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습니다.
Linux 배포판의 대표적인 예시로는 Ubuntu, Debian, Fedora 등이 있습니다.
WSL을 이용하여 Ubuntu 배포판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과정을 설명드리겠습니다.
[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] 활성화
Windows 기능 켜기/끄기 - Linux용 Windows 하위 시스템을 활성화해줍니다.
WSL 및 Ubuntu 설치
먼저 Windows Powershell을 관리자 모드로 열어줍니다.
wsl --install 명령어를 실행하면 WSL 및 Linux의 기본 Ubuntu 배포를 설치합니다.
wsl --install
기본으로 설치되는 Ubuntu 이외에 다른 배포판을 설치하고 싶은 경우,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설치 가능한 유효한 배포판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wsl --list --online
다음 명령어를 통해 선택한 배포판을 설치할 수 있습니다.
wsl --install <Distribution Name>
wsl --list --verbose 명령어를 실행하면 현재 설치되어 있는 Linux 배포판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더 간결하게 wsl -l -v 명령어를 실행해도 됩니다.
wsl --list --verbose
안내해준대로 wsl.exe -d Ubuntu 명령어를 실행하면 Ubuntu를 시작할 수 있습니다.
Ubuntu 최초 시작 시 account와 password 설정이 필요합니다. (password는 입력해도 콘솔에서는 보이지 않습니다.)
wsl.exe -d Ubuntu
exit 명령어를 통해 Ubuntu를 종료하고 다시 PowerShell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.
exit
Windows Terminal 접속 및 세팅
혹시 Windows Terminal이 설최되어 있지 않다면, Microsoft Store에서 설치해주면 됩니다.
앞선 과정에서 Ubuntu를 정상적으로 설치 완료했습니다.
그에 따라 터미널에 접속한 후 탭 옆에 [+] 버튼을 누르면, 이제 Ubuntu를 선택할 수 있게 됩니다.
[설정]에서 기본 프로필을 Ubuntu로 설정해주면 이제 터미널 접속 시 기본적으로 Ubuntu로 접속할 수 있습니다.
터미널을 접속하면 PowerShell에서 Ubuntu 최초 실행 시 설정했던 account 기반으로 자동 접속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다음 명령어 실행을 통해 현재 Ubuntu 버전이 24.04.2 LTS임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.
lsb_release -a